Browsing: 목회와선교

김훈 목사의 특별기고 돈은 인간 관계를 멀어지게 할까? 캔버라에 소재한 예수 전도단 (Youth With A Mission )이라는 선교단체에는 어려운 사람들에게  푸드뱅크(Food Bank)에서 음식을 가지고 와서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일을 수 년간 해 오고 있다.푸드뱅크는 유통기한이 임박한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모아서 필요로 하는 기관에 보급하는 일을 하고 있다. YWAM의 팬트리 (pantry)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가난한 사람만 그 곳을 찾는 것이 아니라 좋은 집과 충분한 수입이 있지만 홈 론 (주택 대출금)을 갚는데 수입이 너무 많이 사용되어져서 어쩔 수 없이 먹는 것을 푸드 뱅크 (Food bank)를 통해서 해결을 하는 중산층들이 종종 있다는 것이다. 최근에 이자율이 올라가면서 위와 같은 사례들이 솔직히 더 많아지고 있다. 많은 돈을 벌고 일을 하지만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돈이 없어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고 일을 많이 하다보니 가족 간의 관계는 함께 어려워져 가는 경우들이다. 주위에 이런 사례들을 보면서 행복하기 위해 집도 사고 돈도 모으는 게 아닌 집을 사고 재산을 축적하기 위해 마치 지금의 행복을 팔아 버린 듯한 느낌이 들 때가 있다. 근면하게 노력해서 집을 사고 재산을 모으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나 그것이 정도를 넘어설 때 바람직한 것이 아닌 무리이며 가족의 행복을 빼앗아 버리는 가혹함이 된다. 전문가들은 수입의 25%에서 35% 가 홈론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이 적정 수준이라고 말하는데 아마도 지금의 이자율이 올라간 상태에서는 두 배가 훌쩍 넘어가버린 사람들이 대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어떤 한 분은 자신의 수입의 90%이상이 홈론으로 사용된다고 하시는 분도 계셨는데 그 분의 삶이 얼마나 고달플 지 상상을 해 보지 않아도 알 것 같았다. 돈과 집은 행복을 위해서 필요한 부분이긴 하다.  집이 있으니 예전 보다 훨씬 더 마음이 안정되어졌다고 하는 분들도 보게 된다. 그리고 재정이 있으면 더 좋은 일들을 많이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하기도 한다.  돈이 있으면 그 돈으로 더 좋은 일을 하면서 사람과 인류에게 더 기여를 하고 관계를 더 윤택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아이러니 하게도 돈은 인간 관계를 멀어지게 한다.  몇 일 전에도 시드니의 갈스톤에 사는 한 사람이 Oz lotto에서 40 밀리언을 받게 되었다고 뉴스가 올라왔다. 많은 사람들은 그 뉴스를 보면 로또가 당첨된 사람은 얼마나 행복할까 라고 생각을 하지만 지금까지 수많은 이야기들을 들어 보면 로또로 부요하게 된 사람들의 인간관계가 더 좋아지고 가족이 행복해졌다기 보다는 가족이 깨어지고 인간 관계가 더 나빠지게 되었다고 한다. 어떤 사람은 말할 것이다. 앞의 사례는 아주 갑자기 돈이 많이 생겨난 경우이고 일반 사람에게는 적용이 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이다. 그런데 그렇지 않다. 유명한 과학 잡지인 <사이언스>에서 돈이 인간관계를 멀어지게 한다고 하는 실험 연구 결과들을 몇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한 가지 실험을 보면, 참가자들에게 간단한 설문지를 컴퓨터로 작성하게 한 후에 화면 보호기가 작동되게 한다고 한다. 그런데 한쪽은 물고기 그림을 보여 주고 한쪽은 지폐가 한 장씩 넘어가는 그림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그리고 나서 다른 실험자와 이야기를 나누려고 하니 모퉁이에 있는 의자를 가져다 놓으라고 한다. 그런데 물고기를 본 참가자들은 의자를 가까이 두었으나 지폐를 본 참가자들은 의자를 평균적으로 다른 사람들에 비해 50 센티나 거리를 더 두었다고 한다. 그 뿐 아니라 다른 예도 있다. 학교 운동장에 있는 아이들의 사진을 찍었는데 사진을 분석한 결과 상류층의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과 거리를 더 많이 유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슷한 것으로 참가자들에게 서로 대화를 나누어 보라고 한 다음에 상류층 아이들을 구분하라고 했을 때 쉽게 구분을 할 수 있었는데 상류층의 아이들은 시선이나 미소로 상대와 접촉하지 않고 자신에게만 열중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서미진 박사의 특별기고 함께 지내기 힘든 성격들 (Difficult personalities) 살아가다 보면 우리는 아주 어려운 성격들을 만나게 됩니다. 그 중에는 매사에 부정적이어서 힘든 사람도 있고 요구를 너무 많이 해서 힘든 사람도 있습니다. 그 중 화를 잘 내는 사람과 같은 경우는 눈에 너무 잘 드러나서 금방 알아차리게 되지만 소시오패스처럼 전략적으로 사람을 위험에 빠뜨리게 하는 경우는 당하고 나서 나중에 알아 차리기도 합니다. 어떤 경우는 결혼 전에는 몰랐다가 결혼을 해 보니 배우자가 성격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어서 함께 지내는 것이 많이 버거운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렇게 성격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다루기 어려운 사람도 있지만 나랑은 성격이 너무 맞지 않아서 이해가 안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일반적으로 성격이 상반되어서 이해가 잘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은 극 외향이어서 늘 사람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고 거기에서 활력을 얻는 반면 한 사람은 극 내향이어서 혼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하고 사람들을 많이 만나면 스트레스를 잘 받을 때 두 사람은 서로를 이해하는 것도 어렵고 시간을 같이 보내는 것도 쉽지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얼마 전 아는 지인이 여행을 친구들과 함께 갔는데 여행이 너무 힘들었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자신은 모든 것을 미리 계획해서 해야 하는 사람인데 함께간 사람들은 아무도 그런 사람이 없어서 결국 자신이 모든 일을 오거나이즈를 해야 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나와는 너무 달라서 힘들거나 또는 어린 시절 상처로 인해서 성격이 심하게 왜곡되어 있는 사람과 지내는 것이 힘들고 괴로울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함께 지내기 힘든 성격들 (Difficult personalities)’에서는 그것에 대한 답을 제공합니다. 책 제목처럼 함께 잘 지내기 어려운 성격들에 대해서도 설명하면서 힘든 부분을 잘 보완하면서 대처할 수 있는 전략들을 다양하게 알려줍니다. 그 중에 관계하기 힘든 사람들로 인해 힘들고 괴로운 상황이 있을 때 선택할 수 있는 네 가지가 필자의 눈에 띄었습니다. 첫 글자를 따라 CAST로 표현할 수 있는데 변화, 수용, 머물며 괴로와 하기 그리고 떠나기 등을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변화 (Change)로 바꿀 수 있는 것은 바꾸고 상황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얼마전 우연히 지하 작은 방 두개에 9명이 함께 살고 있는 가족의 이야기를 보았는데 한 건축가의 도움으로 집이 고쳐지면서 모든 가족이 살만한 환경이 되자 아이들의 건강이나 생활의 만족도가 훨씬 좋아진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외적인 상황을 고치는 것이 문제 해결에 이바지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유의해야 하는 것은 우리는 타인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여기에서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꾸어라’ 라고 말하는 것은 외적인 환경 보다는 내 자신의 행동과 생각에 대한 변화를 먼저 시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나의 행동과 생각을 본다면 생각을 바꾸는 것이 더 쉽기에 평소에 나의 생각을 관찰해 보고 인지 행동 치료( Cognitive behaviour therapy)와 같은  것을 통해 나의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생각들을  긍정적으로 또는 낙관적으로 바꾸는 연습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생각을 바꾸면서 동시에 나의 삶에서 제일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를 자꾸 생각해 보면서 그 가치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노력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 받아들이기 (accept)는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고 만족하며 사는 방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만약 내가 지금의 상황에서 나를 힘들게 하는 사람이지만 함께 살아가는 것이 가장 낫다고 생각한다면 지금의 상황에서 변화가 없지만 그것을 받아들이면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거기에는 나를 힘들게 하는 그 사람이 바뀔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포기하는 것이 포함이 되며 결점이 있고 완벽하지 않고 공평하지 않은 삶과 풀리지 않은 문제가 있는 삶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대를 낮추고 힘든 상황만 바라보지 않고 주위를 돌려 긍정적인 면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를 잘 내는 배우자와 살아야 할 경우 그 배우자가 아주 친절하고 화를 안내는 사람이 되기를 기대하기 보다는 화를 내지 않을 때 친절한 그 사람의 부분을 조금 더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그 사람 그대로를 긍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이 때 남의 입장에 서보는 것과 공감과 또 매사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낙관주의적인 태도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