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에듀라이프

김훈 목사의 특별기고 건강한 분노표현 아이가 똑똑하고 말도 잘 듣는 착한 아이다 보니 엄마들이 그런 아이들에게 더 많은 일을 시키게 됩니다. 그렇게 일을 시키다 보니 그 일이 당연한 듯 되어 힘들어 하는 아이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금쪽 같은 내 아이” 라는 Tv 프로그램에서 착하고 말 잘듣는 아이들의 내면의 소리를 듣는 코너가 가끔 나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그런 아이들은 억압된 분노가 많이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필자의 집의 4째 아이가 그랬습니다. 늘 집 청소도 잘하고 엄마, 아빠의 부탁에 짜증을 내지 않고 잘 하는 아이가 괜찮은 줄만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속으로는 많이 억울해하며 힘들어하고 있었다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표현을 하는 아이나 표현을 하지 않는 아이나 모두다 잘 살펴 주어야 함을 새삼 알게 되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화를 겉으로 잘 드러내어서 ‘저 사람은 화를 잘 내는 사람이야’ 라고 쉽게 알아차리는 데 화를 속으로 누르고 억압하는 사람은 속으로만 힘들어 하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은 그것을 잘 알 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그런데 화를 내는 사람이든 화를 속으로 참는 사람이든 ‘화’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은 정신 건강에 아주 해롭습니다. 지속적으로 분노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심장 혈관계가 망가지고 면역체계가 무너져 각종 암과 감염등의 질환에 취약해질 뿐 아니라 분노를 다스리기 위해 잘못된 위안 수단인, 음주, 흡연, 과식 등의 습관을 가지게 되어서 더 건강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분노가 일어나면 몸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많이 나오고 지방이 많이 분비되고 그 지방이 콜레스테돌로 전환이 되고 혈소판을 더 응고시켜 심장 질환이 일어나게 하기도 합니다.분노를 억압하는 사람들은 예전에는 그것을 표현해야 한다고 과격하게 분노를 표현하는 시도들을 했지만 그렇게 과격하게 분노를 표현하고도 분노가 해소가 안되고 오히려 더 공격적으로 대하는 경향이 생기는 것을 실험하면서 과하게 억압된 분노를 표출하는 것은 도움이 많이 되진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분노를 느낀 상황에서 무조건 억압하는 것이 아니라 그 분노를 잘 해석하고 그것에 맞는 적절한 행동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든 감정들은 감정이 하는 고유한 기능이 있고 그렇기에 그 기능을 잘 이해하고 기능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너무나 감정을 억압하는 것에 익숙한 사람은 한 번 즈음 충분히 섭섭한 마음을 강하게 라도 풀어내게 하는 것은 감정을 표현해 보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는 의미에서 필요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필자는 가끔 밥주걱 같은 것을 가지고 푹신한 것을 때려보게 하는 일과 같은 것을 하게하지만 계속해서 그렇게 분노를 풀어내는 것은 좋은 방법은 아니라는 것을 말씀 드립니다. 일단, 분노가 느껴지면 어떤 행동을 취하라고 하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어떤 행동을 취하라는 신호인지를 잘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주 위험한 상황이어서 화가 난다면 그 때는 그 화를 내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예를 들어, 어린 아이가 차에 치이려고 하는 상황에서는 소리를 질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습관적으로 과민하게 반응하며 화를 내는 것인 지 또는 내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좌절로 인한 분노인지, 상실로 인한 분노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마음’이라는 책에는 분노를 다루는 방법을 설명해 주는 데 화가 나는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르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합니다. 레드포드 윌리암스 교수는 분노를 다루는 법을 네 가지 측면을 생각하면서 설명하는 데 그것을 살펴봅시다. 먼저는 ‘중요성’을 생각합니다. ‘이것이 나에 중요한 일인가’ 라는 질문을 하는 것입니다. 언젠가 한 선생님이 저에게 했던 ‘사소한 것에 목숨 걸지 말아라 ‘ 라고 했던 말은 저에게 중요성을 생각하게 하는 좋은 표현이었습니다. 일 주일이나 한달 후에 이 일을 생각했을 때 그렇게 화가 날 만한 일인 지를 생각해 보고 만약 그렇지 않은 사소한 문제라면 ‘이 일은 중요한 것 아니야 . 사소한 거야’ 라고 말하며 그냥 흘려보내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정당성’의 문제입니다. 때로 우리는 화가 날 수 있는 데 다른 것에서 화가 난 것을 엉뚱한 곳에서 풀어낼 때도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질문해 보아야 합니다 ‘ 내 분노와 생각과 느낌이 이 상황에 적절한 것인가? 너무 과하게 반응하거나 너무 억압하는 것이 아닌 지를 질문해 보아야 합니다. 일어난 상황을 만약 이성적이고 현명한 사람들이 비슷한 일을 경험한다면 나와 똑 같은 기분을 경험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고 분노에 대한 반응을 적절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변화’의 문제입니다. ‘ 지금 상황이 바꿀 수 있는 것인가? ‘ 또는 “ 내가 이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함으로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지?’를 생각해 보고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하는 것입니다. 만약 바꿀 수 없다면 현재의 상황을 수용하도록 생각을 바꾸어서 감정을 편안하게 도와주는 방향으로 나갈 수 있습니다. 네 번째로는 ‘가치’를 생각합니다. 여기의 가치는 나의 분노가 정당하다고 할 때 내가 구체적인 행동을 취할 만큼 가치가 있는 것인가?를 질문하는 것입니다. 만약 구체적 행동을 취할 만큼 가치가 없다면 화나는 감정을 다른 방식으로 다루어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분노의 정당성으로 인해 법적인 조치를 취했을 때 내가 가지고 있는 많은 부분을 잃어버리게 된다면 그것은 법적인 조치를 취할 만큼의 가치가 없다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입니다.레드포드 윌리암스 교수는 이렇게 4가지를 질문했을 때 하나라도 ‘아니요’ 라는 답이 나오면 자신의 반응을 수정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화를 낼 만한 일이 아니고 중요한 일도 아니고 가치가 없는 일이기에 분노하는 것을 수정하는 방법을 취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