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ing: 교육소식

2024 『내가 한국바로알리기의 주인공』 에세이 공모전 2024 『내가 한국바로알리기의 주인공』에세이 공모 안내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제교류처는 외국 교과서의 한국 관련 내용 개선 및 내용 증설을 위한 ‘한국바로알리기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세계 속의 한국 이미지를 개선하고 한국이해자료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하여 2024 『내가 한국바로알리기의 주인공』 에세이를 아래와 같이 공모합니다. 1. 공모 주제 주제세부 내용외국에서 보는 한국 이미지- 외국 교육자료(외국 교과서, 인터넷 사이트 등)에 나타난 한국 이미지- 한국 이미지 개선 방안 제안한국이해자료 활용- 한국이해자료의 활용 후기 및 개발 제안 ※ 한국이해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제작한 자료를 의미하며, 다음 사이트에서 볼 수 있음. (https://www.aks.ac.kr/ → 출판·자료 > 자료 > 한국이해자료) 2. 응모 자격: 외국인, 재외국민 3. 제출 방법: 신청서 양식을 작성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를 통해 제출 ○ 제출 언어: 한국어 또는 영어 ○ 제출 분량: A4 3매 내외 ※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https://www.aks.ac.kr/) 알림마당 > 공모·지원에서 신청서를 다운로드 한 후 해당 게시글 우측 하단의 [신청(Apply)] 버튼을 눌러 제출 (신청서 양식만 접수함) ※ 주제1과 주제2에 중복하여 응모할 수 있음. 4. 시상 내역 구분인원시상내역최우수상2외교부·교육부 장관 상훈 및60만원 상당의 상품우수상4한국학중앙연구원장 상훈 및40만원 상당의 상품장려상6국제교류처장 상훈 및20만원 상당의 상품…

카스 소식 안내 (8월 2일) 1. ‘호주 노인 복지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8월 8일 (목) 오전 11시- 오후12시 카스와  웬트워스 포인트 도서관이 공동 개최하는 정보 설명회로 카스 한인 직원이 정부 지원 노인 복지 시스템(My Aged Care)에 관한 설명회를 진행한다. =내용: My Aged Care 란 무엇인가/ My Aged Care 등록 방법/  심사 절차, 정부 보조 홈 케어 서비스 종류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행사 일정과 예약/문의 사항은 아래와 같다.…

호주기독교대학 알림 (7월 31일) 골프전공 학생모집 (스포츠코칭학과 유학생가능) 호주기독교대학에서 골프전공 학생 모집합니다. 골프전공 학생 (초급, 중급, 고급반) 모집 합니다. 정부생활비 보조 어스터디 가능합니다. 현재 프로 골프 교수님들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학생들의 필요에 맞는 스포츠 종목을 추가 예정입니다. 수업은 대면과…

서미진 박사의 특별기고 ‘저항’ 에 대하여… 막내딸이 친구를 만나러 간다고 나갔는데 가고 난 다음 방을 확인해 보았더니 방 바닥에 옷이 잔뜩 늘어져 있었다. 아이가 돌아오자 방을 치우라고 말을 했고 아이는 알겠다고 반응을 보였다. 그런데 저녁에 방에 다시 가보니 그대로 치워지지 않은 상태로 있어서 다시 치우라고 말을 했는데 몸을 움직이지 않고 있길래, 왜 치우지 않느냐고 묻게 되었다. 아이의 반응은 “내가 알아서 치울 텐데 엄마가 치우라고 하면 더 하기 싫어져서 그래!” 라는 것이다. 잔소리를 하면 자신의 ‘저항’이 더 심해진다는 결론이다. 아이의 말에 아무렇지도 않은 듯 표정을 지으며 “알았어, 잔소리를 안할 테니, 알아서 잘 치우렴” 라고 말하며 아이의 방을 떠나왔다. 감사하게도 아침에 일어나 아이의 방을 가보니 방은 치워져 있었다. 언젠가 필자가 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쳤던 적이 있었는데 그 중에 학원 원장의 딸이 있었다. 그 아이는 상당히 카리스마가 있는 아이였고 공부를 잘 하는 아이였다. 그런데 학원 원장 딸이 필자가 학원을 그만 둔 다음의 후임 선생님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전의 선생님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아이들을 선동하고 현재 선생님의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러면서 그 아이는 반 아이들을 다 이끌고 집을 방문해서 잊을 수 없는 선생님이라고 하면서 선물을 사들고와서 존경한다고 말하며 유학을 잘 다녀오라는 인사를 하고 떠났던 기억이 있다. 그 아이는 일부러 저항을 한 것은 아니지만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인 ‘저항’을 원치 않는 변화에 대해서 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 아주머니는 남편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 상담소에 부부 상담을 요청하였다. 그 분은 자신은 문제가 없다고 생각을 했는데 상담소에서 진행함 검사 결과에서 자신이 변화되어야 할 부분이 많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는 당황을 하고 바로 상담을 종결해 버렸다. 변화해야 할 사람이 남편이 아닌 자기라고 하는 사실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가 없어서 상담을 그만 둘 수 밖에 없었는데 이것도 ‘저항’의 한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아주머니가 정말 원한 것이 부부 관계의 회복이 아니라 어쩌면 남편의 변화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자신이 변화해야 하는 상담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고 보면 사람은 원치 않는 변화에 대해서 어떤 식으로든 ‘저항’을 보이는데 그 저항이 건강하지 못할 때 그것이 성장과 변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오타니(Otani, 1989)는 저항의 흔한 형태를 스물 두 가지로 분류했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저항의 형태로 ‘의사소통 하지 않기’, ‘내용을 제한하기’, ‘조작하기’, ’규칙을 어기기’, 를 설명한다. 이것은 상담소에서 고객들이 어떤 저항을 사용하는 지를 연구한 것이긴 하나 일상에서 변화를 촉구하는 쌍방의 관계에서 그것을 원치 않을 때 종종 나타나는 것이라고 이해해 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부부 관계나,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등 다양한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의사소통 하지 않기에는 침묵하기, 드물게 반응하기, 최소한으로 반응하기, 끊임없이 이야기 하기가 있다. 의사소통은 상호 연관성이 있어야 하고 주고받기의 공평성이 있을 때 원할하게 진행되어질 수 있고 그것을 통해서 관계가 발전하고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그런데, 한쪽에서 이야기를 하는데 반응을 제대로 해 주지 않는 ‘저항’을 보일 때 관계는 발전할 수가 없다. 상담에서도 상담사가 내담자의 변화를 위해 소통을 하려고 하는데 변화를 원치 않는 내담자가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반대로 자신의 이야기만 끊임없이 할때 상담을 잘 진행해 나갈 수가 없다. 가끔 안타까울 때가 있는데 상담 시간 50분 내내 자신의 이야기만 하려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은 상담 선생님에게만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대인 관계에서도 일방적으로 자신의 말만 많이 하고 상대방의 말이나 생각은 잘 들어주지 않는 사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주위 사람들은 그것으로 인해 종종 힘들어한다. 그것도 무의식적인 변화에 대한 ‘저항’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내용을 제한하기에는 잡담하기, 지성화 하기, 반문하기, 집요하게 이야기하기 등이 있다. 변화를 거부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다루지 않고 다른 이야기만 자꾸 하는 것이다. 과거의 상처가 너무 아프다 보니 관계에서 상처를 이야기하게 하려고 하면 피해버리고 유머로 넘기려 하는 사람들, 또는 아픈 상처를 아무렇지도 않은 듯 먼 나라의 이야기처럼 무덤덤하게 하는 사람들은 진정으로 아픔을 직면하는 것이 쉽지 않은 사람들이다. 이런 사람들은 너무나 자연스럽게 상처를 덮어버리는 ‘세련된 저항 방식’으로 인해 상처를 깊이 다루고 치료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다음으로 조작하기가 있는데 여기에는 무시하기, 유혹하기, 남 탓하기, 잊어버리기 등이 있다. 가끔 보면 중요한 것인데 너무 쉽게 잊어버렸다고 상황을 넘겨 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예를 들면, 상담 시간에 과제를 내 주었는데 잊어버려서 못했다고 한 번이 아닌 반복해서 말하는 사람들의 예를 들 수 있겠다. 그 뿐인가? 문제의 원인을 무조건 남에게 돌리며 자신은 피해의식에 사로잡혀서 그것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결국, 사람을 조정함으로 변화를 거부하는 ‘저항’을 보이는 형태라고 생각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규칙을 어기기 저항은 약속을 지키지 않기, 지불을 미루기, 부당한 요구하기, 부적절한 행동 보이기 등이다. 한 아이가 학교만 보내려고 하면 아프다고 하면서 드러 누울 때 꽤병이긴 하지만 그것이 너무나 실제적이다 보니 부모는 아이를 학교에 보내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저항’들은 어떤 경우는 의식적으로 의도를 가지고 행하지만 많은 경우 어린 시절에 경험한 상처와 아픔으로 인해 무의식적인 자기 방어의 형태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 건강한 방식으로 소통하는 것이 어렵다 보니 다양한 ‘저항’의 형태로 자신의 뜻을 관철시키고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는 방법을 터득한 것이다. 그렇기에 ‘저항’이라고 하는 방식을 관계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것조차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모습을 관계에서 경험하게 되면 ‘왜 그러지?’, ’이해가 안되네!’ 라고 생각하기 보다 무의식적 ‘저항’일 수 있는 것을 생각하고 그것이 주는 의미를 찾아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관계의 문제를 풀어가는데 더 효과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청소를 하라는 것에 ‘저항’적일 때  말을 안듣는다고 쉽게 판단하여 생각하기 보다는  변화에 대한 저항이라고 이해하며,  반복되는 부모의 잔소리 때문인지 아니면 청소를 할 줄 아는 기술의 부족 때문인 지를 찾아보려고 할 때 훨씬 더 문제를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