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5월 6일, 이탈리아의 교육학자 • 의사 마리아 몬테소리 (Maria Tecla Artemisia Montessori, 1870 ~ 1952) 별세
마리아 테클라 아르테미시아 몬테소리 (이: Maria Tecla Artemisia Montessori, 1870년 8월 31일 ~ 1952년 5월 6일)는 이탈리아의 교육학자이자 의사이다.
몬테소리 교육법을 개발하여 전 세계에 널리 보급하였다.

– 마리아 테클라 아르테미시아 몬테소리 (Maria Tecla Artemisia Montessori)
.출생: 1870년 8월 31일, 이탈리아 Chiaravalle
.사망: 1952년 5월 6일, 네덜란드 노르드비크
.학력: 로마 라 사피엔자 대학교 (1893 ~ 1896년), 로마 라 사피엔자 대학교 (1890 ~ 1892년)
.자녀: 마리오 몬테소리 시니어
.부모: 알레산드로 몬테소리, Renilde Stoppani
○ 생애 및 활동
마리아 테클라 아르테미시아 몬테소리 (Maria Tecla Artemisia Montessori)는 1870년 8월 31일, 이탈리아 키아라발레 (Chiaravalle)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격렬한 반대와 어머니의 열렬한 서포트를 업고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 의학과에 입학한 유일한 여학생이었다.
설에 따르면 의학과 재학 당시 여자라는 이유로 해부실습 수업 참여가 금지되었다고 한다. 남성 문화 경향이 강한 이탈리아, 그중에서도 의대는 심각한 남성사회였으니 이러한 불평등이 심했다고 한다.
졸업 후 동 대학의 부속병원 정신병과 조수가 되었으나 여전한 차별대우 및 아이들을 학대하는 당시의 관습에 지쳐 교육학으로 전향을 결심, 1898년부터 2년 간 로마의 국립 특수교육학교에서 일한 다음 로마대학교에 재입학해 7년간 실험심리학과 교육학을 배웠다. 1907년 3 ~ 6세까지의 노동자 자녀들을 위한 유치원 ‘어린이의 집 (Casa dei Bambini)’을 열어, 이른바 몬테소리 교육법 (法)에 의한 교육을 실시하였다.
1922년에는 이탈리아의 교육부 장관이 되었으며, 몬테소리의 학교 및 교육 방법은 베니토 무솔리니 정권의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평화와 어린이 교육을 강조하는 등 몬테소리의 교육 방식은 무솔리니의 파시즘 정권과 부딪히는 부분이 많았다. 결국 몬테소리는 공직을 사임하고 1934년 이탈리아를 떠나서 아들이 거주하고 있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정착했다. 이후 몬테소리는 네덜란드, 영국, 인도 등을 찾아다니며 교육법을 전파하다가 1952년 5월 6일, 네덜란드 노르드윅 (Noordwijk)에서 뇌출혈로 사망했다.

○ 아동교육에 대한 기여
교사들의 권위주의적 교육에 강력히 반대하고 어린이의 권리존중을 주장하여 어린이의 신체 및 정신의 발달을 북돋우는 자유스러운 교육과, 어린이 하나하나의 활동리듬에 알맞은 개성발전교육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교육 방향이 어린이들로 하여금 자율성과 자발성을 배울 수 있도록 하며, 자기개발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또, 감관 (感官)의 훈련이야말로 모든 정신발달의 기초가 된다고 생각하고, 갖가지 놀이 도구를 고안하여 감관을 훈련시키고자 하였다.
몬테소리식 교육이 자신의 유치원 운영을 통해 효능이 입증되자, 세계 각국에서 그녀의 방식을 배우려 몰려왔는데, 이 때를 계기로 그녀의 이름을 따 교구 (敎具) 회사를 세웠다. 하지만 의사 시절의 과거 스캔들이 걸려서 홍역을 치르기도 했었다.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사상을 사람들이 “스탈린주의 사상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려고 한다!”라고 제대로 오해하는 바람에 몬테소리가 설립한 유치원 ‘어린이의 집’이 1년 (혹은 몇 년) 동안 강제 폐쇄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에서 오해가 풀려 다시 문을 열게 되었다. 생각은 좋은데 시대가 뒤따라주지 못한 사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권위주의보다 자율성에 근거한 교육방법론은 좌파들이 강조하는 교육학 방법론이다. 그렇다고 그게 틀렸다고 단정할 수도 없고, 탄압한다는 것은 더더욱 문제라고밖에 할 수 없다. 아직도 권위주의적 교육론과 어른들의 의식이 팽배한 상황인데 정말 시대를 앞서 간 교육자이자 교육학자 중 한명이다.
저서로 ‘가정에서의 어린이 : Das Kind in der Familie’ (1926), ‘교회에서의 어린이 : The Child in the Church’ (1929), ‘인간 가능성의 교육 : To Educate Human Potential’ (1948) 등이 있다.
몬테소리 교육법에 의하여 한국 몬테소리 (공식 홈페이지)가 생겨났는데, 특유의 억양 때문에 못된소리라 불리고 있다. 이후, 못된소리가 대세론을 이루자 한국에서만큼은 몬테소리 교육을 회피하는 특유의 바람이 불었다.
또한 몬테소리 교육법이 미국 등을 거쳐가면서 마치 영재를 만들어주는 기적의 조기교육 방법인양 소개되기도 했다.

○ 경력
로마 대학교 부속병원의 정신과 조수로 있으면서 장애인 및 지적 장애인을 처음 접하고, 장애 어린이에 대해 의학적으로만이 아니라 교육적인 치료의 필요를 절감했다. 1898년 국립 장애인 학교의 책임자가 되었고, 1906년 로마정부로부터 위임받은 로마시 빈민가 출신 3-6세의 어린이 60명을 맡게 되었는데, 여기에서 그의 독창적인 ‘몬테소리 교육법 (The Montessori Method)’을 고안하게 되었다.
그에 의하면 아동은 본래 정신적으로 자기발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교육은 아동이 자유롭게 자기표현과 자기발전을 하게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교사는 아동의 활동을 면밀하게 관찰 · 측정 · 기록하여, 이를 참고로 아동에게 적당한 지시를 하면 된다고 했다. 먼저 ① 아동의 자기활동을 돕는 정리된 환경을 제공하고, ② 교사는 뒷전에 물러서서 필요할 때만 지시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그는 지적 장애가 있는 어린이에게 놀이감을 주자 훌륭한 학습을 하는 것을 보고, 이를 장애가 없는 어린이에게도 적용시키려 했고, 색채감각의 자극과 대소 (大小) · 장단 (長短)의 지각을 위해서 여러 가지 크기의 나무조각 · 구슬 등의 놀이감을 이용하였다. 그는 ① ‘놀이감’을 이용, 아동의 감각을 발달시켜 자발적 흥미를 불러 일으키는 학습을 시키며, ② 활발한 자기활동으로서 자기교정 · 훈련이 돼 나아감을 보았다.
그가 지적장애가 있는 어린이로부터 장애가 없는 어린이에까지 교육방법을 적용시킨 ‘감각훈련 놀이감 (creative materials)’을 발견한 것은 프리드리히 프뢰벨 (F. Froebel)의 ‘은물 (恩物)’을 능가하는 수확이라 하겠다.

○ 개인사
미혼모이기도 했다. 당시 미혼모에 대한 시각은 지금과는 비교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몬테소리는 아들을 항상 조카라고 소개하였다고 한다. 지금도 사회적 유명인 중에 미혼모인 여성을 생각해 보라. 특히 동양권에서는 한 명도 찾기 힘들 것이다. 입양의 경우는 있을 수 있더라도 말이다.
당시 주세페 몬테사노 박사와 함께 병원에서 일했었는데, 결혼하려 했지만 몬테세노 집안에서 반대해서 (여자가 의사라 집안에서 좋아하지 않았다) 아들 마리오 몬테사노를 남기고 마리아 몬테소리를 떠난다.
유로화 도입 전인 이탈리아 종이화폐인 1,000리라의 모델로 차용된 적이 있었다.
○ 저서
- 주요 저서
가정에서의 어린이 : Das Kind in der Familie (1926)
교회에서의 어린이 : The Child in the Church (1929)
인간 가능성의 교육 : To Educate Human Potential (1948)
Il segreto dell’infanzia : 어린이의 비밀, (1936년).
La mente del bambino : 어린이의 정신. Mente assorbente (1949년).
- Montessori’s major works in book
Il Metodo della Pedagogia Scientifica applicato all’educazione infantile nelle Case dei Bambini (Tipografia della Casa Editrice S. Lapi, 1909). Subsequently revised and reissued in 1913 and 1918 (published by Ermanno Loescher), and 1935 (published by Maglione and Strine).
.English (American) edition: The Montessori Method: Scientific Pedagogy as Applied to Child Education in the Children’s Houses [translated by Anne E. George] (Frederick A. Stokes, 1912)
.English (United Kingdom) edition: The Montessori Method: Scientific Pedagogy as Applied to Child Education in the Children’s Houses [translated by Anne E. George] (William Heinemann, 1912)
.German edition: Selbsttaetige Erziehung im fruehen Kindesalter nach den Grundsaetzen der wissenschaftlichen Paedagogik methodisch dargelegt [unidentified translator] (Hoffmann, 1913)

Dutch edition: De methode Montessori: zelfopvoeding van het jonge kind [translated by T. Bruyn] (Ploegsma, 1916)
.French edition: Pédagogie scientifique [translated by M. R. Cromwell] (Librairie Larousse, 1916)
.Spanish edition: El Método de la Pedagogía Científica Aplicado a la Educación de la Infancia en “La Casa dei Bambini” [translated by Juan Palau Vera] (Araluce, 1918)
.Revised and enlarged English (India) edition The Discovery of the Child [translated by Mary A. Johnstone] (Kalakshetra Publications, 1948)
.Revised and reissued in Italian as La scoperta del bambino (Garzanti, 1950). A ‘new’ edition of this title was published by Garzanti in 1970.
.French edition: Pédagogie Scientifique: La Découverte de l’Enfant [translated by Georgette J. J. Bernard] (Desclée de Brouwer, 1952)
.First American edition of The Discovery of the Child [translated by M. Joseph Costelloe] (Ballantine Books, 1967). Simultaneously versions of this title were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by Fides Publishers (Notre Dame, Indiana) and Amereon House (New York).
.German edition: Die Entdeckung des Kindes [translated by Edith Seidel] (Verlag Herder, 1969)
.Japanese edition: 子どもの発見 / Kodomo no hakken [translated by Tsuneyoshi Tsuzumi] (Kokudosha, 1971)
.Catalan edition: La Descoberta de l’Infant [translated by Andreu Roca] (EUMO Editorial, 1984)
.English (United Kingdom) edition: The Discovery of the Child [translated by M. Joseph Costelloe] (Clio Press, 1988)
.Hungarian edition: A gyermek felfedezése [translated by Balassa Sándorné] (Herder, 1995)
Antropologia Pedagogica (Vallardi, 1910)
.Spanish edition: Antropología pedagógica [translated by Juan Palau Vera] (Araluce, 1910)
.English (United Kingdom) edition: Pedagogical Anthropology [translated by Frederick Taber Cooper] (William Heinemann, 1913)
.English (American) edition: Pedagogical Anthropology [translated by Frederic Taber Cooper] (Frederick A. Stokes, 1913)
Dr. Montessori’s Own Handbook (First published in English; Frederick A. Stokes, 1914)
.Italian edition: Manuale di pedagogia scientifica [translated from the English edition] (Alberto Morano, 1921)
L’autoeducazione nelle scuole elementari (Loescher, 1916)
.English edition published in two volumes (Frederick A. Stokes, 1917):
.The Advanced Montessori Method, Vol. I: Spontaneous Activity in Education [translated by Florence Simmonds]
.The Advanced Montessori Method, Vol. II: The Montessori Elementary Material [translated by Arthur Livingston]

I bambini viventi nella Chiesa (1922)
.English edition: The Child in the Church: Essays on the Religious Education of Children and the Training of Character edited by Edwin M. Standing
Das Kind in der Familie (First published in German; 1923)
.English edition: The Child in the Family translated by Nancy Cirillo
.Italian edition: Il bambino in famiglia (1936)
Psico Geométria (First published in Spanish; 1934)
.English edition: Psychogeometry edited by Kay M. Baker and Benedetto Scoppola
.Italian edition: Psicoaritmetica (1971)
.English edition: Psychoarithmetic edited by Kay M. Baker and Benedetto Scoppola
L’Enfant (First published in French; Gonthier, 1936)
.Spanish edition: El Niño (Araluce, 1936)
.English edition: The Secret of Childhood (Longmans, Green and Co., 1936)
.Italian edition: Il segreto dell’infanzia (1950)
.German edition: Kinder sind anders : il segreto dell’infanzia [translated by Percy Eckstein and Ulrich Weber] (E. Klett, 1952)
De l’enfant à l’adolescent [translated by Georgette J. J. Bernard] (First published in French; Desclée de Brouwer, 1923)
.English edit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translated by The Montessori Education Research Center] (Schocken Books, 1973)
.Italian edition: Dall’infanzia all’adolescenza (1949)
Educazione e pace (Garzanti, 1949)
.English edition: Peace and Education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1949)
Formazione dell’uomo (Garzanti, 1949)
.English edition: The Formation of Man [translated by Albert M. Joosten]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1955)
The Absorbent Mind (Theosophical Publishing House, 1949)
.Revised and rewritten Italian edition: La mente del bambino. Mente assorbente (Garzanti, 1952)
.English edition of Italian version: The Absorbent Mind [translated by Claude A. Claremont]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7)
Education for a New World (1947)
.Italian edition: Educazione per un mondo nuovo (1970)
To Educate the Human Potential (1947)
.Italian edition: Come educare il potenziale umano (1970)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